본문 바로가기

해외직구2

해외 구매대행 관부가세 이해하기 | 관부가세 뜻, 부과기준, 예상세액 계산법 (2024 구매대행, 해외직구, 수입 관세) 해외 직구, 해외 구매대행 등 해외에서 상품을 수입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마주치는 용어가 바로 관부가세입니다. 또한 수입업, 무역업을 시작하시려는 분들은 관세가 부과되는 기준이나 예상 관부가세의 산출법에 대해서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이러한 관부가세가 무엇인지, 관부가세가 부과되는 기준은 무엇이며, 관부가세 합산세액을 어떻게 산출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부가세란? 관부가세는 관세와 부가세를 합쳐서 부르는 말이며, 외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수입물품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중 하나입니다. 관부가세에서의 부가세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익히 알고 있는, 상품을 구입할 때 지불하는 세금인 부가가치세와 같으며, 마찬가지로 10%의 세율을 가지고.. 2024. 3. 16.
HS 코드 / HSK 코드 이해하기 | 수입 수출 무역 구매대행 해외 직구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상품 분류 코드 오늘은 수입이나 수출업 등의 무역업에 종사하시거나 해외 구매대행, 해외 직구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상품 분류 코드인 HS code 그리고 HSK code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HS 코드는 국제 통일 상품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의 약칭으로 세계 무역 기구와 세계 관세 기구가 무역 통계, 관세, 보험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숫자 코드로 분류한 것입니다. 현재 국제 무역 상품의 98% 이상이 이 HS 코드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고 합니다. 국제 상품분류 체계 통일을 위해 도입된 HS 코드는 총의 전 세계 공통 코드로 구성되며, 국제협약에 따라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 2024. 3. 5.